Cohe
1 데이터 베이스 기초 본문
728x90
반응형
- 데이터 베이스와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 데이터, 정보, 지식
- 일상생활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쉬움 검색 빈도 변경 빈도 ⬇️ ⬇️ 책, 웹페이지로 고정 ⬆️ ⬇️ 대출 서비스 ⬇️ ⬆️ 비행기 예약 서비스,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어려움 ⬆️ ⬆️ 증권 데이터 베이스 - 데베의 개념 및 특징
- 통합된 데이터 (intergrated data)
- 데이터를 통합하는 개념, 데이터 중복 최소화
- 저장된 데이터
- 문서x, 컴퓨터로 저장된 데이터, Digitization
- 운영 데이터(opertational data)
- 업무 검색 목적으로 저장된 데이터
- 공용 데이터(shared)
- 공동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 실시간 접근성(real time accessibillity)
- 계속적인 변화
- 데베에 저장된 내용은 어느 한 순간의 상태를 나타냄, but 데이터 값은 시간에 따라 바뀜.
- 데베는 삽입, 삭제, 수정 등의 작업을 통하여 바뀐 데이터 값 저장
- 동시 공유(multiple user/system)
- 내용에 따른 창조
- 데이터의 물리적인 위치가 아니라 데이터 값에 따라 참조 → 주소값x 값참조
- 데베 시스템 구성
- 개념적 모델링
-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정보 구조로 표현
- 논리적 모델링
- ER모델 구조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한 구조
- 관계 스키마 모델을 만드는 과정
- 물리적 모델링
- 구현
- 데이터, 정보, 지식
- 개념
- 정보 : data에 의미를 부여한 것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발전
- 마당서점과 데베 시스템
1980 컴퓨터의 도입 : 컴퓨터 사용, 파일 시스템, 초기 전산과 (DBMS XX) 1990 지점 개설 및 데베 구축 : 도서 수 증가, 시스템을 지점으로 연결, 검색 및 데이터 공유 가능 업무,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도입 하지만 독립적 개발 설치 시 클라이언트 SW 설치가 필요했다 2000 홈페이지 구축 :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 수 증가, 인터넷으로 도서 검색 및 주문, 클라이언트 서버 설치 X, window 호환, 웹 DB 시스템으로 지점 간 연계 2010 인터넷 종합 쇼핑 서비스 제공, DB 서버 여러개 구축 → 정보 시스템, 분산 데이터 시스템, 대규모 응용 시스템 사용 - 파일 시스템
- LAN을 통하여 파일 서버에 연결, 파일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사용을 위해 응용 페이지에서 여 닫기를 요청
- 응용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중복 가능성 업
- 동시에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 일관성 훼손 가능성 높음
-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 DBMS 시스템 도입 통합 관리 시스템
- 서버와 클라이언트 분리 : 서버가 데이터 파일을 다룬다 → 데이터 일관성 유지 가능
- 데이터의 중복이 줄어들었고 데이터 표준화 무결성 유지 가능
- 웹 데이터 시스템
- DB를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시스템
-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분산된 DBMS 서버를 연결하여 운영
- 파일 시스템과 DBMS
- 데이터를 프로그램 내부에 저장하는 방법
- 문제점 : 새로운 데이터가 생길 때 마다 프로그램을 수정한 후 다시 컴파일 해야함
- 파일 시스템 사용 방법
- 문제점 : 운영체제의 도움 없이 공유가 불가능함
- DBMS를 사용하는 방법
- SQL문 실행(본 코드 내) DB 읽고 실행(외부 코드)
- SQL문 실행(본 코드 내) DB 읽고 실행(외부 코드)
데이터 정의 응용프로그램 DBMS 데이터 저장 파일시스템 데이터 베이스 접근 방법 직접 접근 접근 요청 언어 자바 c++, c등 sql CPU 사용 적음 많음 예시 1), 2) 3) - 파일 시스템 사용 방법
- 문제점 : 새로운 데이터가 생길 때 마다 프로그램을 수정한 후 다시 컴파일 해야함
- 데이터를 프로그램 내부에 저장하는 방법
- 1)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SQL : 구성 DDL(정의어) DML(조작어) DCL(제어어)
-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 DBMS
- 데이터 정의 :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하고 데이터 구조에 대한 삭제 및 변경 기능을 수행
- 데이터 조작: 검색, 삽입, 수정, 삭제 작업
- 데이터 추출
- 데이터 제어 : 모니터링하며 접근 제어 백업과 회복, 동시성 제어 등의 기능 지원
- 데이터 모델
- 데이터 베이스의 개념적 구조
-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출처 : MySQL로 배우는 데이터베이스 개론과 실습
728x90
반응형
'데이터 베이스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기본 데이터 형 및 기타 내용 (2) | 2024.04.03 |
---|---|
데이터 베이스 설치들 (0) | 2024.04.02 |
Union, GROUP BY / HAVING, Join, GRANT (0) | 2024.04.01 |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개념 (3) | 2024.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