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he
0. 데이터링크와 전송제어 본문
728x90
반응형
- 데이터링크와 회선제어
- ENQ/ACK 방식
- 전용 전송링크로 구성된 두 스테이션 사이에 주로 사용
- 두 스테이션 어느 쪽에서든 전송을 시작할 수 있음
- 전송과정
- A 스테이션이 ENQ 프레임을 전송하여 연결의 초기화를 진행
- B 스테이션은 ACK을 전송하여 데이터 수신 준비되었음을 알림
- 전송이 완료되면 EOP프레임을 전송하여 작업을 종료
- 폴링 방식
- 하나의 스테이션을 주 스페이션으로 지정하고 나머지는 종속 스테이션으로 구성해 사용
- 전송과정
- 주 스테이션이 SEL(선택) 프레임을 보내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림
- 수신지 종속 스테이션은 ACK 프레임을 주 스테이션에 보내 준비를 알림
- 선택된 종속 스테이션만이 링크 사용된을 획득
- 다른 스테이션은 모두 전송 대기상태가 됨
- 이후 주 스테이션으로부터 선택된 종속 스테이션으로 데이터 전송..
- ENQ/ACK 방식
- 폴 모드
- 주 스테이션이 다수의 종속 스테이션에 보낼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 데이터를 전송
- 주 스테이션에서 폴 프레임을 전송
- 스테이션 A, 스테이션 C는 NAK 프레임을 보냄(전송할 데이터가 없음)
- 스테이션 B는 ACK 프레임을 보냄으로써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짐
- 데이터 전송이 끝나면 EOT 프레임을 전송해 종료전송과정
- 주 스테이션이 다수의 종속 스테이션에 보낼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해 데이터를 전송
- 흐름제어
- 흐름제어의 정의
- 수신장치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속도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에는 제한
- 수신장치가 전송장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
- 전송 데이터의 양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하는 절차
- 흐름제어의 특징
-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전송
- 프레임마다 하나의 ACK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법과 여러 프레임에 하나의 ACK 프레임을 보내는 방법이 있음
- 데이터 프레임이 손상되었다면 이에 대한 오류제어 메시지를 전송
- 대표적인 방법에는 정지-대기 방식과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 등
- 정지 - 대기 방식
-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한 후 각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이 도착하면 다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
- EOP 프레임이 전송되면 데이터 전송이 종료
-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효율성이 떨어져 활용도가 낮음
- 흐름제어의 정의
-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
- 정지-대기 방식의 비효율성을 개선
- 전송한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더라도 여러 프레임을 연속으로 전송하도록 허용
- 이미 전송 했으나 ACK 프레임을 받지 못한 프레임을 보관할 필요가 있으기 때문에 윈도우라는 개념을 도입
- 윈도우
- 전송 및 수신 스테이션 양쪽에서 만들어진 버퍼의 크기에 해당하는 용어
- 오류제어
- 전송지 스테이션은 전송한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을 받을 때까지 프레임의 복사본을 유지
- 식별을 위해 데이터 프레임과 ACK 프레임은 각각 0,1 값으로 번호를 부여
- 만약 프레임에서 오류제어가 발견 시 NAK 프레임이 반환, 전송지는 복사해 두었던 동일한 프레임을 재전송
- 전송장치에는 타이머가 있어서 주어진 시간 내에 ACK가 오지 않으면 재전송을 수행
GBn ARQ 방식
- 프레임 3에서 오류가 발견되기 전에 6개의 프레임이 전송수신 측은 ACK 3반환하여 전송 측에 프레임 0,1,2가 잘 도착했다고 알림
- 프레임 3은 손상되었기 때문에 곧바로 NAK 3이 전송되고 그 이후의 프레임 4,5는 폐기
- 데이터 프레임이 분실된 경우
SR ARQ 방식
- 손상되거나 잃어버린 프레임만 다시 전송
- 선택적으로 재전송
데이터링크 계층의 오류제어 방식 비교
- 정지-대기 방식 : 구조가 간단해 구현하기 용이하지만 비효율적이어서 활용도가 낮음
- GBn ARQ 방식 : 구조가 간단하고 효율성이 향상되어 가장 널리 사용
- SR ARQ 방식 : 가장 효율적이지만 구조가 복잡해 유지 관리 비용이 높아지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
데이터링크 프로토콜
다중화와 교환기술
- 일반적으로 데이터통신 시스템은 다중화 과정, 역 다중화 과정을 포함
- 다중화기: n개의 입력 디바이스가 동시에 하나의 데이터링크를 상호 공유하도록 해주는 장치
- 역 다중화기: 다중화기의 반대 개념
다중화 기술의 종류
- 주파수 분할 다중화
- FDM
- 데이터 링크의 주파수 대역폭을 몇 개의 작은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어 각각 부채널로 재구성하여 각 디바이스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
- 시분할 다중화
- TDM
- 채널에 할당된 데이터 전송 허용시간을 일정한 시간 슬롯으로 나누고 채널도 다시 부채널로 나누어 각 시간 슬롯을 부채널에 순차적으로 할당해 사용하는 방식
- 패킷 전송의 개념과 다중화
자세한 사항 : 아래 링크 참조
https://tame-neptune-1a0.notion.site/08e3197a0bff440fb7cd8e010d4b7389
728x90
반응형
'컴퓨터통신과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네트워크 모델 (2) | 2024.04.10 |
---|---|
1. 컴퓨터 통신과 네트워크 개요 (1) | 2024.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