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운영체제 (12)
Cohe

가상 메모리의 개요 가상 메모리 시스템 가상 메모리 물리 메모리 크기와 상관없이 프로세스에 커다란 메모리 공간을 제공하는 기술 가상 메모리를 이용하면 프로세스는 운영체제가 어디에 있는지, 물리 메모리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신경 쓰지 않고 메모리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음 가상 메모리의 크기와 주소 프로세스가 바라보는 메모리 영역과 메모리 관리자가 바라보는 메모리 영역으로 나뉨 가상 메모리에서 메모리 관리자는 물리 메모리의 부족한 부분을 스왑 영역으로 보충 가상 메모리의 크기 가상 메모리에서 메모리 관리자가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의 전체 크기는 물리 메모리(실 메모리)와 스왑 영역을 합한 크기다. 동적 주소 변환(DAT; Dynamic Address Translation) 가상 주소를 실제 메모리의 물리..

메모리 관리의 개요 메모리 이해하기 메모리 주소 1B로 나뉜 메모리의 각 영역은 메모리 주소로 구분하는데 보통 0번지부터 시작 1kb 메모리의 경우 8bit(행)*공간(열) : 8bit 씩 저장공간이 1k(0~1023)개 있다 256워드가 있다. → 주소를 짧은 bit로 표현이 가능하다. trade off해서 주소변환이 가능하다. 순서의 상관을 쓰지 않는다. 주소: 16진법을 쓴다. 주소는 8bit 단위 32bit = 1word CPU는 메모리에 있는 내용을 가져오거나 작업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해 주소를 사용 메모리 관리의 복잡성 메모리는 폰노이만 구조의 컴퓨터에서 유일한 작업 공간이며 모든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올라와야 실행 가능(운영체제도 마찬가지) 일괄처리 시스템은 한번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