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IT206 React - ContextAPI 사용방법 2. Context API를 활용한 상태 관리 · GitBookContextAPI 사용방법createContext() 생성자식 컴포넌트에서 Consumer를 이용해서 데이터 받기 => useContext() 훅을 사용할 수 있음.부모 컴포넌트에서 Provider를 사용하여 value값을 제어Provider 와 Consumer 를 독립적으로 분리하기ContextAPI는 전역으로 사용하는 값이기 때문에 파일을 독립적으로 분리해서 작성하도록 변경하위 컴포넌트에서는 훅을 이용해서 편리하게 사용가능useContext() 훅컴포넌트에서 ContextAPI를 편하게 사용가능하게 하는 훅리턴은 객체이고, 첫번째는 상태 값, 두번째는 값을 저장하는 setter객체 반환Ex) const {state, action} = u.. 2024. 6. 25. Next.js 프로젝트 수동 및 자동 생성 방법 및 라우팅 기초 Next.js 프로젝트 생성하기..수동 생성mkdir next-manualcd next-manualnpm init -y ⇒ pakage.json이 만들어진다.pakage.json을 수정한다접은글 내부에 적 더보기{ "name": "next-manual", "version": "1.0.0", "description": "", "main": "index.js", "scripts": { "dev": "next dev" }, "keywords": [], "author": "", "license": "MIT" }npm install react@latest react-dom@latest next@latestpage.tsx : view component가 있는 파일 → return 값이 있는 것이다.app 폴더를 만.. 2024. 6. 25. NextJS 기본 Next.jsnext.js는 오픈소스 앱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다next.js는 리액트를 기반으로 구현 및 개발됨사용목적서버사이드 렌더링이나 정적 웹 사이트 생성 등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편리하게..리액트 기반이나, 서버의 기능도 일부 가지고 있다.리액트 공식 문서에 서버 사이드 랜더링 웹사이트 구축 시 Next.js로 권장함.특징으로 리액트의 기능성을 살피면서 리액트에서 다룰 수 없는 영역을 포함하는 실전적 웹 프레임워크이기 때문, 보다 개발을 십게, 쾌적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리액트 알고 있다면 훨씬 쉽게 작업할 수 있다.SSR/SSG의 필요성SPA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을 사용하면서 초기 표시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음.이에 대한 대안으로 SSR/SSG를 볼 수 있음.SSRserver side R.. 2024. 6. 25. React - 스타일링 숙제 - onToggle, onRemoveimport { useCallback, useReducer, useRef, useMemo,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import CreateUser from './Hook/CreateUser';function countActiveUsers(users) { console.log('활성 사용자 수를 세는 중....');...function reducer(state , action) { switch ... case 'CREATE_USER': return { inputs: initialState.inputs, users: state.users.concat(action.user) }.. 2024. 6. 17. React - Hook 삭제 버튼을 누르면 삭제가 되는 걸 만들고 싶어요!!array/userList.js에서 작성function User({user, onRemove}) { return ( {user.username} ({user.email}) onRemove(user.id)}>삭제 ); } function UserList({users, onRemove}) { return ( { users.map((user) => ( )) } App.js 에서 작업.... const onRemove = id => { // user.id가 파라미터로 일치하지 않는 원소만 추출해서 새로운 배열 만듦 // user.id가 파라미터로 전달된 id인 것만 제거한 새로운 배열 생성 // filter를 사용하여 구현 -> true인 애들만 제거.. 2024. 6. 17. React - useState useState를 통한 컴포넌트에서 바뀌는 값 관리하기리액트 16.8 이전에는 함수현 컴포넌트에 상태를 관리할 수 없었음.16.8 이후 부터는 hooks라는 기능을 도입하면서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 관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ustState는 이 훅들 중에 하나다)State리액트에서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바뀔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state가 체인지 되면 변화를 감지하여 리렌더링을 수행한다.클래스 vs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다르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hooks 개념을 이용해서 더욱 쉽게 사용 가능함.useState 사용하기syntax : useState(초기값)배열 반환첫번째 배열의 요소에는 현재값을 (getter과 동일)두번째 배열의 요소에는 상태를 변경하는 Sett.. 2024. 6. 17.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