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IT206

7-3 절차형 SQL/ SQL 최적화 절차형 SQL절차형 SQL(Procedural SQL)의 개념SQL 언어에서도 절차 지향적인 프로그램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랜잭션 언어절차형 SQL의 종류프로시저, 사용자 정의 함수, 트리거가 있다.종류설명프로시저(Procedure)일련의 쿼리들을 마치 하나의 함수처럼 실행하기 위한 쿼리의 집합사용자 정의 함수 (User-Defined Function)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정의한 함수입니다.트리거(Trigger)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삽입, 갱신,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절차형 SQLSQL 최적화1. 쿼리 성능 개선(튜닝)의 개념쿼리 성능 개선 : 프로시저에 있는 SQL 실행 계획을 분석, 수정을 통해 최소의 시간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도록 프로시저를 수정하는.. 2024. 9. 27.
7-2 집계함수, 그룹함수, 윈도 함수, 기출문제 집계성 SQL 작성1. 데이터 분석 함수의 개념총합, 평균 등의 데이터 분석을 위해 복수 행 기준의 데이터를 모아서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다중 행 함수데이터 분석을 위한 다중 행 함수의 공통적인 특성단일 행을 기반으로 산출하지 않고 복수 행을 그룹별로 모아놓고 그룹당 단일 계산 결과를 반환GROUP BY 구문을 활용하여 복수 행을 그룹핑한다.SELECT, HAVING, ORDER BY 등의 구문을 활용한다.2. 다중 행 연산자다중 행 연산자의 개념다중 행 연산자는 서브 쿼리의 결과가 여러 개의 튜플을 반환하는 다중 행 서브쿼리에서 사용되는 연산자입니다.다중 행 연산자의 종류다중 행 연산자로 IN, ANY, SOME, ALL, EXISTS를 사용합니다.다중 행 비교 연산자는 단일 행 비교 연산자(<.. 2024. 9. 27.
7-1. SQL 응용 - 기출문제 오답 풀이1. 같은 자원을 액세스하는 다중 트랜잭션 환경에서 DB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트랜잭션의 순차적 진행을 보장하는 직렬화 기법-> 로킹2. STUDENT테이블에서 컴터과 학생 50명, 인터넷과 학생 100명 사자과 학생 50명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때 다음 sql문의 실행결과와 튜플의 수는?1. SELECT DEPT FROM STUDENT;2. SELECT DISTINCT DEPT FROM STUDENT;3. SELECT COUNT(DISTINT DEPT) FROM STUDENT WHERE DEPT = '컴터'순차적으로 200/3/13. 데베 회복 기법중 rollback 시 redo, undo가 모두 실행되는 트랜잭션 처리법으로 트랜잭션 수행 중 갱신 결과가 바로 DB에 반영하는 기.. 2024. 9. 26.
7-1. SQL 응용 - DCL 데이터 제어어관리자(DBA)가 사용하는 제어용 언어이다.데이터 보안, 무결성 유지, 병행 제어, 회복을 위함유형동작문법설명GRANT사용 권한 부여GRANT 권한 ON 객체 TO 사용자 [WITH GRANT OPTION];관리자(DBA)가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REVOKE사용 권한 취소REVOKE 권한 ON 객체 FROM 사용자;관리자(DBA)가 사용자에게 부여했던 권한을 회수하기 위한 명령GRANT(권한 부여) 명령어GRANT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 Database Administrator)가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이다REVOKE(권한 회수) 명령어REVOKE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가 사용자에게 부여했던 권한을 회수하기 위한 명령.. 2024. 9. 25.
7-1. SQL 응용 - DML 1. 데이터 조작어 (DML)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자료들을 입력, 수정, 삭제, 조회하는 언어이다.2. DML 명령어 : SELECT, INSERT, UPDATE, DELETE3. SELECT 명령어 및 관련 개념1. SELECT 명령어 구조구성: SELECT, FROM, WHERE, GROUP BY, HAVING, ORDER BY 절주요 절 설명:FROM: 조회할 테이블 지정WHERE: 검색 조건 지정GROUP BY: 그룹화 기준 지정HAVING: 그룹화 후 조건 지정ORDER BY: 정렬 기준 지정 (ASC/DESC)2. WHERE 절 조건비교: =, , , >=범위: BETWEEN집합: IN, NOT IN패턴 매칭: LIKE (%, _, [ ], [^])NULL 검사: IS NULL, IS N.. 2024. 9. 24.
7-1. SQL 응용 - DDL 1. 데이터 정의어(DDL; Data Definition Language)의 개념테이블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특정 구조를 생성, 변경, 삭제, 이름을 바꾸는 데이터 구조2. DDL의 대상1. 도메인 (Domain)속성이 가질 수 있는 원자값들의 집합데이터 타입, 크기, 제약조건 등의 정보 포함2. 스키마 (Schema)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제약조건 등을 정의하는 기본 구조외부/개념/내부 3계층으로 구성외부 스키마: 사용자 관점의 논리적 구조개념 스키마: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 관계, 제약조건 등 정의내부 스키마: 물리적 저장 구조 정의 (sql 문)3. 테이블 (Table)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구성 요소:튜플(Tuple)/행(Row): 레코드를 나타냄애트리뷰트(.. 2024. 9. 24.
728x90
반응형